#1[증권투자권유자문인력 요약] 1과목 증권분석 ❄️PART 01 경기분석 ⚡️ 01 경기변동 개념과 측정
❄️ PART 01 경기분석
⚡️ 01 경기변동 개념과 측정
경기변동: 경기변동은 종합경기지표를 사용함.
♪ 경기순환
- 경기 순환 구분: 2분법(확장,수축), 4분법(호황,회복,후퇴,불황)이 있다.
- 경기순환 관련용어:
- 기준순환일 - 정점 or 저점의 시점
- 순환진폭: 정점과 저점 간 차이
- 순환주기: 저점에서 시작하여 다음 저점까지의 기간
- 성장순환: 장기적 성장추세선 중심으로 나타나는 경기의 기복
♪ 국민소득계정(NIPA)
- 대표적 거시경제지표. 한국은행이 분기·연도별로 추계. 명목,불변가격 기준으로 나누어 작성.
- 국내총생산(GDP) 지출구성: 소비(민간소비, 정부소비), 투자{고정투자(설비,건설), 재고투자}, 수출, 수입(순수출입 포함)이 있음.
♪ 산업활동과 관련된 경제지표
- 통계청 한국은행 추계. 월·분기·연도별로 작성.
- 종류: 산업생산, 생산자재고, 제조업 평균가동률
- 단기적 경제흐름 파악에 유용, 국민계정의 보조지표
- 선행성 갖는 지표는 경제전망에 중요정보 제공
♪ 물가지수: 소비자물가지수(CPI), 생산자물가지수(PPI), GDP 디플레이터
- 생산자물가지수(PPI):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어 전반적인 상품의 수급동향을 반영한 물가지수. 향후 소비자물가 예측가능.
- 소비자물가지수(CPI): 도시가계 평균생계비 내지 구매력의 변동을 측정. 조사대상이 최종소비재와 서비스이므로 임금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. 경기변동에 둔감.
GDP 디플레이터: 물가압력 측정지수
♪ 통화량: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(통화지표). 단기적으로 실물부문에, 장기적으로 물가에 영향.
- 유동성에 의해 협의통화(M1), 광의통화(M2), 금융기관유동성(Lf), 광의유동성(L)로 분류.
- M1= 현금 + 요구불예금 +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(MMF,MMDA 포함)으로 구성됨.
- M2= M1 + 기간물 정기 예적금 및 부금 + 시장형상품(CD, CMA, RP , 표지어음) + 실적배당형 상품+금융채+기타{단, 장기(만기2년이상) 제외}
- ㅁ 금리: 돈을 빌리는 대가로 지불하는 자극의 가격으로 콜금리, CD유통수익률, 국고채수익률 등이 대표적. 한국은 자본 한계수익률이 저하되면서 실질금리는 하향하는 추세.
♪
- MG = PG + TG - VG
- (MG=통화증가율, PG=GDP디플레이터상승률, YG=실질GDP증가율, VG = 유통속도 변화율) .
- 한국의 통화유통속도는 장기적 하락 추세.
- 사후적 추계만 가능 → 경기변화 , 인플레이션 압력 예측 어려움.
#증권투자권유자문인력 pdf
Post a Comment